본문 바로가기
CTA

원가 종류 총정리(기초원가, 전환원가, 변동원가, 표준원가 등)

by 채빗 2025. 3. 10.

원가관리회계를 공부하다보면 원가의 종류가 참 많다는 것을 느끼게 된다. 기초원가는 무엇인지, 변동원가는 또 무엇이었는지 헷갈릴 때가 많은데, 공부할 때마다 살펴보기 위해 원가관리회계에서 나오는 원가 종류를 총정리해본다. 암기할 때는 숫자 옆에 있는 원가 이름만 보고 해당 원가가 어떤 원가인지 확인해보는 식으로 퀴즈를 내본다면, 용어 암기에 도움이 될 것이다.
 

원가 종류 총정리

 

① 기초(기본)원가

 
=  DM(직접재료원가) + DL(직접노무원가) = (제품에 대한) 직접원가
 


② 가공(전환)원가

 
= DL(직접노무원가) + OH(제조간접원가)
 


③ 제조원가

 
=  DM (직접재료원가) + DL(직접노무원가)  + OH(제조간접원가)
 


④ 비제조원가

 
판관비
 


⑤ 개별원가

 
소량생산, 작업원가표 작성
 


⑥ 종합원가

 
대량생산, 제조원가보고서 작성
 


⑦ 전부원가

 
= 제품원가(DM + DL + OH) + 기간원가(판관비)
 


⑧ 변동원가 (⑩+⑪)

 
관련범위 내에서 조업도 변동에 정비례하여 총원가 변동
 


⑨ 초변동원가

 
= 제품원가(DM) + 기간원가(DL + OH + 판관비)
 


⑩ 제품원가

 
재고자산에 할당되는 모든 원가 (재공품계정 차변 집계)
 


⑪ 기간원가

 
일정한 기간동안 발생한 원가
 


⑫ 활동기준원가

 
활동이 자원을 소비하고 제품이 활동을 소비함
(자원 ← 활동 ← 제품)
 


⑬ 관련원가

 
1) 대안들 간 차이나는 미래현금지출원가
2) 기회비용(특정 대안 채택하기 위해 포기해야하는 이익)
 


⑭ 비관련원가

 
대안들 간 차이없는 과거원가(매몰원가)
→ 현금지출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원가
 


⑮ 실제원가

 
DM (실제) + DL(실제)  + OH(실제배부액)
 


⑯ 정상원가

 
DM (실제) + DL(실제)  + OH(예정배부액)
 


⑰ 표준원가

 
DM (표준) + DL(표준)  + OH(표준배부액)
 
제품 1단위 효율적 생산시 달성해야 할 목표원가이자 단위당 예산
 


⑱ 고정원가

 
관련범위 내에서 조업도 변동과 관계없이 총원가 일정
 


⑲ 준고정(계단)원가

 
일정한 조업도 범위 내에서는 총원가 일정,
범위 벗어나면 총원가가 일정액만큼 증감
 


⑳ 준변동(혼합)원가

 
고정원가 + 변동원가
 


㉑ 직접원가

 
(원가추적) 특정 원가대상(제품, 서비스, 부문, 제조공정)에 직접적으로 비교적 쉽게 추적 가능
 


㉒ 간접원가

 
(원가배부) 합리적 배부기준 이용해 배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