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습관

엔화 투자 수익률 쉽게 관리하는 방법 (달러리치)

by 채빗 2022. 6. 27.

안녕하세요. 저는 요즘 일본 엔화가 너무 싸졌다고 해서 엔화 투자를 하고 있는데요. 달러투자를 하면서 달러리치 앱으로 수익률을 편하게 계산했는데, 달러리치 앱으로 엔 투자 수익률도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다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달러리치 어플을 활용해 엔화 투자 수익률 쉽게 관리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 엔화투자방법, 매수 후 언제 매도하는 게 좋을까?

 

요즘 천원이었던 100엔 환율이 950원대까지 떨어지면서 이때 엔화를 사둬야 한다는 분들이 많은데요. 저도 엔화 투자를 알게 되면서 엔화 가격이 떨어질 때마다 조금씩 매수했다가 수익률이 올라가면 다시 매도하는 방식으로 엔화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엔화 투자는 돈으로 돈을 사는 투자 방법이고, 하락폭이 크지 않은데요. 그만큼 수익률도 미미하다는 단점이 있지만, 훨씬 안정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이라 마음 편히 투자하고 있습니다.

 

특히 엔화는 최근 환율이 많이 떨어져서 이거보다 더 떨어지면 얼마나 떨어지겠냐 싶긴 하더라고요. 엔화 환율 전망도 상황이 나아지면 점점 우상향할 것이기 때문에 엔화를 가지고 소액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엔화는 요즘처럼 환율이 천원 아래일 때 사는 것이 좋은데요. 언제 매도하느냐는 내가 원하는 수익률에 따라 달라서 나만의 기준을 세워 투자하면 됩니다. 다만, 엔화 투자나 달러 투자를 할 때는 별도의 세금 없이 환전 수수료만 확인하면 되기 때문에, 환전 수수료를 제외하고도 수익이 나는 방식으로 정해주면 되는데요.

 

달러 투자를 할 때 0.3% 이상 수익률이 발생하면 환전 수수료를 제외하고도 수익이 난다고 합니다. 다만, 이 기준은 환전우대를 적용받았을 때 가능한 이야기라고 하는데요. 내가 환율 수수료 우대를 얼마나 받고 있는지 미리 확인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저는 키움증권에서 95% 환전우대를 받고 있기 때문에 0.3% 이상 수익률을 엔화 투자에도 똑같이 적용하고 있는데요. 환전우대를 받으신 뒤, 수익률 0.3%를 넘기고 나면 기준에 맞춰서 매도하면 될 것 같습니다.

 

 

이미지 출처 : 인베스팅닷컴

 

 

▶ 달러투자 어플, 달러리치! 엔화 투자에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저는 숫자에 약하다 보니 수익률을 바로바로 계산하는 게 너무 어렵더라고요. 특히 엔화 투자를 할 때 7번 나눠서 분할매수하는 방식인 세븐스플릿 방식을 적용해서 내가 산 환율보다 더 떨어지면 추가 매수를 하고 있는 편이라 수익률을 구하는 게 더 복잡했습니다.

 

저는 엔화 투자를 하기 전에 달러투자를 먼저 했었는데요. 달러투자를 할 때 달러리치 앱을 이용해서 수익률을 쉽게 구했었는데요. 달러리치 앱을 개발한 분이자 세븐스플릿 방식을 소개해 환투자라는 새로운 방식의 투자 방법을 소개한 <나는 주식 대신 달러를 산다>의 저자 박성현 님이 블로그에 달러리치를 엔화리치로 활용하는 방법을 소개해주셨더라고요.

 

그런데 그 방법을 적용해도 수익률이 이상하게 적용돼서 헷갈렸는데, 해결방법을 찾아서 현재 달러리치 어플로 달러 투자와 엔화 투자 관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 달러리치로 엔화 수익률 확인하는 법, 주의사항

 

달러리치로 엔화 수익률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회원가입을 해야 하는데요. 회원가입 없이도 달러 실시간 환율과 기준 환율, 엔화 환율 등을 확인할 수 있지만, 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는 ‘투자관리’ 항목은 회원가입을 해야 기록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회원가입을 진행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기존에 달러리치를 통해 달러 투자를 진행하고 계신 분들이라면 아이디를 새로 만들어 달러 투자용, 엔화 투자용 계정을 따로 관리하시는 게 좋은데요. 처음에는 한 계정으로 관리해야 더 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게 아닌가 싶었지만, 현재 엔화투자를 따로 관리하는 항목 없이, 달러 투자용인 달러리치를 엔화 투자용으로 바꿔서 사용하는 거라 투자 기록이 서로 엉킬 수 있더라고요. 그래서 기존에 달러 투자용 계좌가 있는 분들이라면 새로운 계정으로 엔화 투자를 진행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저도 엔화 투자용 아이디를 하나 더 만들었는데요. 회원가입을 클릭해 로그인을 해준 뒤 하단 중간에 있는 ‘투자관리’ 버튼을 클릭해 상단에 있는 ‘투자진행중’ 항목을 눌러준 뒤, 오른쪽 하단에 있는 + 버튼을 클릭합니다.

 

그러면 매수 환율과 매수 달러를 적는 란이 나오는데요. 저는 22일에 948.38원의 환율을 적용받아 10,544엔을 매수했는데요. 일본 만엔이 요즘 환율 기준으로 10만원이 안 되기 때문에, 한 번 매수할 때 10만원을 기준으로 매수했더니 10,544엔이 환전됐습니다.

 

이 경우를 예시로 달러리치에 적용해보면, ‘매수 환율’ 항목에는 내가 매수한 엔화 환율인 948.38원을 그대로 적어줍니다. 그 다음에 중요한 부분이 ‘매수 달러’인데요. 달러를 기준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이를 엔화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내가 매수한 엔화 뒷자리에 소수점 2개를 앞으로 옮겨주면 됩니다.

 

현재 저는 10,544.0엔을 환전했기 때문에 이를 소수점 2개를 앞으로 옮겨주면 105.44엔이 되는데요. 달러는 1달러를 기준으로 환전되지만, 엔화는 100엔을 기준으로 환전되기 때문에 달러리치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소수점 2자리를 앞으로 보내줘서 1엔으로 계산하게끔 해주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사용자지정으로 바꿔주기 전
사용자지정으로 바꿔준 뒤

 

 

따라서 ‘매수 달러’에 105.44엔을 입력한 뒤 ‘확인’ 버튼을 눌러주면 되는데요. 다시 투자진행중 현황으로 돌아가 보니 수익률이 무려 26%가 나오더라고요. 이 수익률이 실제 수익률이면 더할 나위 없이 좋았겠지만, 마지막으로 오른쪽 상단에 투자관리 가이드 옆에 있는 항목을 클릭해 사용자 지정 환율로 수정해주어야 합니다.

 

달러리치는 달러 투자 앱이라 달러를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는데요. 키움증권 달러 환율을 기준으로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수익률이 달랐더라고요. 그래서 ‘키움증권(예상)’ 버튼을 클릭해 ‘사용자지정’으로 바꿔준 뒤, 현재 엔화 환율로 바꿔주면 됩니다.

 

저는 현재 엔화 환율보다 살짝 아래로 입력하는 편인데요. 어차피 현재 환율에서 환전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이 순수한 수익률이기 때문에 현재 엔화 환율이 952.56원일 때 952.0원으로 설정해주는 편입니다.

 

그렇게 사용자지정 환율까지 바꿔주면 수익률이 0.38%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매수금액과 평가손익, 수익률을 알아서 계산해주기 때문에 저처럼 수익률 계산하기 어려워하시는 분들이라면 간편하게 사용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엔화투자 처음이라면? 엔화투자방법 알아보기 (바로가기)

 원하는 환율로 자동환전해주는 키움증권 자동환전 방법은? (바로가기)

댓글